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allowBackup
- TextFormField
- foreground
- TCP/IP모델
- StringUtils.isBlank
- Could not create service of type FileAccessTimeJournal using
- project flow
- carousel slider
- 앱
- 안드로이드
- freezed
- 플루터
- runSpacing
- fullBackupContent
- Chrome Developer Tools
- 프로그래머스
- Flutter SDK
- 입력 커서
- StringUtils.isEmpty
- 두 수의 나눗셈
- Flutter
- gestureRecognizers
- 웹뷰
- VerticalMultiDragGestureRecognizer
- 크롬개발자도구
- Set ID
- not working
- 플러터
- 에러
- 안보내짐
- Today
- Total
목록분류 전체보기 (87)
흰오목눈이야 개발하자
SaaS (Software as a service) :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→ 각 컴퓨터마다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것이 아닌 인터넷을 통해서 바로 접속하여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. 예) AppsFlyer는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SaaS 모바일 마케팅 분석 및 기여 플랫폼입니다. 참조) https://www.salesforce.com/in/saas/

문제 깃허브에서 코드 리뷰를 하던 도중에 코멘트를 작성하였으나 팀원이 보지 못하는 경우가 생겼다. 다른 부분은 PENDING이라는 새로운 태그가 옆에 붙어있어서 원인인 듯싶어 조사하게 되었다. > Pending이란? : 의역하자면 "보류 중인"이라고 보면 되겠다. pending 1.전치사 격식 (어떤 일이) 있을 때 까지, …을 기다리는 동안 2.형용사 미결[미정]인, 계류 중인 3.형용사 곧 있을, 임박한 (=imminent) 참조) https://en.dict.naver.com/#/entry/enko/d7376e421c1d4fe4bef5b196080b9ae2 원인 요약: 깃허브에서 리뷰를 할 코드 줄을 클릭하고 코멘트를 작성하고 나면 Pending이라는 태그가 붙는다. Submit review를 하지..
2022.08.21.일 전송 계층 -> 목적지에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함 - 전송 계층은 오류를 점검하는 기능과 전송된 데이터의 목적지가 어떤 애플리케이션인지 식별하는 기능이 있다. # 전송 계층의 특징 - 신뢰성/정확성: 데이터를 목적지에 문제없이 전달하는 것 - 효율성: 데이터를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하는 것 - 연결형 통신: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. 상대편과 확인해 가면서 통신하는 방식. TCP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, 전송 제어 프로토콜)이 사용됨 - 비연결형 통신: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. 상대편을 확인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. 예) 동영상 UDP(User Datagram Protocol, ..
2022.08.04,05,07,10 (나눠서 4일 정도 걸림) 네트워크 계층 ->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하다. +)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만으로는 해당 네트워크 안에서만 통신이 가능함. 다른 네트워크끼리 통신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계층이 필요함 -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: 네트워크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 - 라우터(router): 네트워크 계층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장비 - 라우터는 데이터의 목적지가 정해지면 해당 목적지까지 어떤 경로로 가는 것이 좋을지를 알려주는 기능을 한다. - 랜에서는 MAC 주소를 통해 통신이 가능하지만 다른 네트워크에는 데이터를 보낼 수가 없다. -> MAC 주소가 아닌 네트워크를 식별할 ..
2022.08.01.월요일 *데이터 링크 계층: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으로, 랜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필요한 계층이다. - 규칙들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칙이 이더넷(Ethernet)이다. - 이더넷: 랜에서 데이터를 정상으로 주고받기 위한 규칙 여러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해도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. +) 허브의 특징: 약해지거나 파형이 뭉그러진 전기 신호를 복원시키고, 해당 전기 신호를 전달받은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 포트에 전달한다. - CSMA/CD(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,반송파 감지 다중 접속 및 충돌 탐지): 이더넷에서 시점을 늦추는 방법. CS: '데이터..

2022.07.14.목요일 물리 계층 ->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필요하다. * 전기 신호의 종류 - 아날로그 신호: 물결 모양 전기 신호, 전화 회선이나 라디오 방송에 사용되는 신호. - 디지털 신호: 막대 모양 전기 신호 - 네트워크를 통해 상대방에게 데이터를 전송할 때 0과 1의 비트열은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된다. 상대방이 받은 전기 신호는 다시 0과 1의 비트열로 복원된다. - 컴퓨터는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랜 카드가 메인 보드에 포함되어 있는 내장형 랜 카드나 별도의 랜 카드를 가지고 있다. - 0과 1의 정보가 컴퓨터 내부에 있는 랜 카드로 전송되고 랜 카드는 0과 1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. - 물리 계층: 1)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고 2)..

2022.7.13.수 - 프로토콜: 통신하기 위한 규칙 - ISO(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, 국제표준화기구): 표준 규격을 정하는 단체 - OSI 모델(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): 국제표준화기구(ISO)에서 개발한 모델로,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을 계층으로 나누어 설명한 것. 참조: https://www.cloudflare.com/ko-kr/learning/ddos/glossary/open-systems-interconnection-model-osi/ OSI 모델이란? OSI(Open Systems Intercommunication) 모델은 컴퓨터 간 통신을 표준화하기 위한 ..
2022.7.11.월 - 네트워크: 컴퓨터 간의 연결 - 인터넷: 전 세계의 큰 네트워크로부터 작은 네트워크까지 연결하는 거대한 네트워크다. - 패킷(packet): 컴퓨터 간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흘러가는 작은 데이터 조각 - 큰 데이터는 작은 패킷으로 분할한다. - 패킷을 보낼 때 각 패킷에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서 보냄. ->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아도 번호 순으로 정렬 가능. - 대역폭(bandwidth): 일반적으로는 네트워크에서 이용 가능한 최대 전송 속도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단위 시간당 전송량 - 컴퓨터는 0과 1밖에 이해하지 못한다. - 비트: 정보를 나타내는 최소 단위 - 1 바이트 = 8비트 - 문자코드(character code) : 숫자와 문자의 대응표 - ASC..